매년 열리는 이태원 할로윈 축제 중 발생한 158명이 길거리에서 일어선 채로 사망당한, 집단 압사 재난사고에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은 윤희근 경찰총장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으로 윤석열 정부 초대 경찰청장이다.) 따위가 유아인 씨를 마약 복용 혐의에 대해서 조사할 계획이란 발표입니다.
경찰이 프로포폴 등 마약을 상습적으로 투약한 혐의를 받는 배우 유아인 씨를 조만간 불러 조사할 계획입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오늘(6일)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조만간 유아인 씨를 상대로 수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윤 청장은 또, 유 씨에 대한 진료기록 분석과 병·의원 관계자 조사 등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경찰 관계자도 유 씨의 모발과 소변 정밀감정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난 마약류 성분에 대해 종합적인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경찰은 유아인 씨가 재작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 동안 모두 100차례 이상 프로포폴을 투약했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수사 의뢰를 받고 정식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지난달 중순 유아인 씨의 소변과 모발을 정밀 감정한 결과, 프로포폴과 대마, 코카인과 케타민 양성 반응이 나타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케타민 복용 후기: 케타민을 복용하면 다른 약물에서 느낄 수 있는 각종 환각, 특히 환시를 경험할 수 있고 자신의 몸에서 빠져나와 몸을 관망하며 주변 사람과 사물, 심지어는 주변을 둘러싼 세계와 유합을 하는 듯한, 일종의 유체 이탈을 연상케 하는 독특한 경험인 해리 증상을 느낄 수 있다.
케타민 부작용:
호흡곤란, 경련, 구역, 구토, 발진, 침분비 과다, 발열, 흥분, 어지러움, 입마름, 두통, 시각이상 |
마약류 신고안내
관세청-마약류 신고안내
개요 관세청에서는 마약류의 불법납용을 근절하기 위하여 마약류 밀수단속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민여러분의 신고를 기다립니다. 신고내용 항만 또는 공항을 통한 마약류 밀반입 국제우편
www.customs.go.kr
개요
관세청에서는 마약류의 불법납용을 근절하기 위하여 마약류 밀수단속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국민여러분의 신고를 기다립니다.
신고내용
- 항만 또는 공항을 통한 마약류 밀반입
- 국제우편 및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류 밀반입
포상금지급기준
- 최대 1억5천만원 지급
신고전화
- 국번없이 125번(이리로) 제보
마약 중독 되었다고 느낄때
자살예방 | 20201208 | 7187 | ||
마약중독자의 치료보호의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
기소유예부 검찰의뢰 치료보호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마약류 불법투약(복용자) → 본인 또는 보호자 치료보호신청 → 마약류 중독 여부 판별 검사 실시(치료보호기관) → 치료보호심사위원회(중앙 또는 시도) 개최, 치료보호 여부 및 치료기간 결정 → 입원 및 외래치료→ 치료종료 및 퇴원통보 → 치료보호 완료 후 사회복귀 → 정기적 상담 및 단약모임 참여 자의의뢰 치료보호사업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약류 불법 투약(복용자) → 검찰의 기소유예조건부 치료보호 적용 여부 판단 (마약류사범 치료보호 신청 제도 도입) → 치료보호기관에 입원 및 외래 치료 의뢰(검찰)→ 마약류 중독 여부 판별검사 실시(치료보호기관) → 치료보호심사위원회(중앙 또는 시도) 개최, 치료보호 여부 및 치료기간 결정 → 입원 및 외래치료 → 치료종료 및 퇴원통보 → 치료보호 완료 후 사회복귀 → 정기적 상담 및 단약모임 참여. 더 자세한 사항은 국번없이 ☎129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유아인씨가 나온 영화는 사도 2015년작 이 유일하고, 연기를 정말 미친듯이 잘한다고 느꼈는데, 무슨 일을 덮으려고 꺼냈는지 모르겠지만 이번 기회로 중독을 끊고 좋은 연기자로 거듭나시기를 바랍니다.
텔레그램만 깔면 쉽게 구입…49억 마약 유통 / KBS - YouTube
마약류 중독 치료1
정부에서는 마약류중독으로 고통 받고 있는 분들을 위해 전문치료시설인 「국립부곡정신병원 마약류 중독진료소」를 비롯한 전국 19개 병원을 마약류중독 전문치료기관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입원신청
마약류중독으로 치료받고자 하는 사람은 정부지정 마약류 전문치료기관 또는 관활 시·도 담당부서로 입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기관명전화번호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정책과 | 02) 043-719-2806~7 |
서울특별시청 보건의료정책과 | 02) 2133-7534 |
부산광역시청 보건정책과 | 051) 888-4011∼8 |
인천광역시청 보건정책과 | 032) 440-2710 |
대구광역시청 보건정책과 | 053) 803-4071 |
광주광역시청 건강정책과 | 062) 613-3320 |
대전광역시청 보건정책과 | 042) 2704810 |
울산광역시청 보건위생과 | 052) 229-3530 |
경기도청 보건정책과 | 031) 8008-4340 |
강원도청 보건정책과 | 033) 249-2410 |
충북도청 보건정책과 | 043) 220-3111 |
충남도청 보건행정과 | 042) 635-4303 |
전북도청 보건의료과 | 063) 280-2420 |
전남도청 보건한방과 | 062) 286-6010 |
경북도청 보건정책과 | 053) 950-2420 |
경남도청 보건행정과 | 055) 211-4951 |
제주도청 보건위생과 | 064) 710-2910 |
입원신청자 : 본인, 환자의 배우자, 직계존속, 호주 또는 법정대리인이 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마약관리과와 시·도 담당부서로 전화 문의하시면 입원절차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치료비 및 치료보호기관
- 치료비용 : 치료비는 전액 국고에서 지원하여 입원비 및 약제비등 전액무료로 치료해 드립니다.
- 치료보호기관구분병원명주소전화번호
서 울 서울특별시립은평병원 서울 은평구 백련산로 90 02-300-8052 국립서울병원 서울 광진구 능동로 398 02-2204-0114 부 산 부산광역시 의료원 부산 연제구 월드컵대로 359 051-507-3000 대 구 대구의료원 대구 서구 평리로 157 053-560-7575 인 천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 동구 방축로 217 032-580-6000 광 주 광주시립인광정신병원 광주 광산구 삼도로 84-3 062-949-5280 대 전 참다남병원 대전 중구 대흥동 467-1 042-222-0122 울 산 큰빛병원 울산 남구 신정2동 1650-9 052-272-2505 경 기 경기도의정부의료원 경기 의정부시 흥선로 142 031-828-5000 용인정신병원 경기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940 031-288-0114 계요병원 경기 의왕시 오전로 15 031-455-3333 강 원 국립춘천병원 강원 춘천시 동산면 영서로 824 033-260-3000 충 북 청주의료원 충북 청주시 흥덕구 흥덕로 48 043-279-0114 충 남 국립공주병원 충남 공주시 고분티로 623-21 041-850-5700 전 북 군산의료원 전북 군산시 의료원로 27 063-472-5000 전 남 국립나주병원 전남 나주시 산포면 세남로 1328-31 061-330-4114 경 북 포항의료원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로 36 054-247-0551 경 남 국립부곡병원 경남 창녕군 부곡면 부곡리 70 055-536-6440 제 주 연강병원 제주시 죽성서로 14 064-726-7900 - 입원기간 : 최장 12개월까지
- 비밀보장
- 치료를 원하는 마약류중독자가 입원중인 치료보호기관은 치료와 관련한 환자의 인적 사항에 대해 비밀을 보장하며 사법당국에 신고 또는 고발을 하지 않습니다.
- 의료인의 경우 마약류중독자를 치료할 때 당국에 보고 내지 신고할 의무가 폐지되었습니다.
- 상담을 환영합니다.
- 마약류나 약물남용으로 고민하고 계시는 분이나 가족 혹은 친구는 상담센타로 전화해 주십시오. 비밀은 절대 보장하며 전문 상담가의 상세하고 친절한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마약류 및 약물상담소 : 서울 080-022-5115
- 컴퓨터통신
- 인터넷 : http://www.drugfree.or.kr
- 이메일 : coun@drugfree.or.kr
- 마약퇴치운동후원(02) 2677-2343